티스토리 뷰
해마다 찾아오는 건강검진 통지서를 받으면, 마음 한켠이 조용히 긴장된다.
‘이번엔 꼭 받아야지’ 하면서도, 예약을 미루다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달라졌다.
모바일 하나로 대상자 조회부터 병원 예약, 결과 확인까지 모두 가능한 시대가 열린 것이다.
1. 달라진 제도, 2025년의 건강검진
올해 건강검진의 키워드는 **‘맞춤형’**이다.
40세 이상 여성은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 주기가 단축되었고,
50세 이상 남성은 대장암과 간암 검사가 확대되었다.
건강보험공단 앱에서는 병원 예약, 일정 변경, 결과 확인이 한 화면에서 가능하다.
검진이 행정 절차에서 생활 속 관리로 옮겨간 셈이다.
2. 대상자 조회 — ‘짝수해는 내 차례입니다’
국가건강검진의 대상자는 출생연도 끝자리로 구분된다.
2025년은 짝수년도이므로 1986년, 1990년생이라면 올해 대상이다.
조회 방법은 간단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The건강보험’ 앱에서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메뉴를 선택하고,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면 된다.
본인뿐 아니라 가족도 ‘가족등록’ 절차를 거치면 함께 확인할 수 있다.
3. 병원 예약 — 가까운 곳에서 가장 빠르게
예전엔 전화로 병원을 찾아야 했다.
이젠 건강iN 사이트에서 지도를 열고 병원을 클릭하면 바로 예약이 된다.
검진유형, 위치, 주차 여부, 소요시간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일정이 바뀌면 앱에서 즉시 취소나 변경도 가능하다.
출퇴근길 지하철 안에서 몇 번의 터치로 모든 절차를 마칠 수 있다니,
건강관리의 방식이 이렇게 가벼워질 수도 있다.
4. 비용과 지원 — 무료의 범위를 아는 일
대부분의 기본 검진은 무료다.
암 검진의 일부만 1~2만 원 수준의 본인부담금이 생긴다.
저소득층, 생애전환기, 국가유공자는 전액 면제된다.
초음파나 CT 같은 선택검사는 병원마다 다르지만,
공단 지정병원에서는 무료항목만으로도 충분히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가성비 검진’이라는 말이 괜히 생긴 게 아니다.
5. 올해 놓치면 내년엔?
국가건강검진은 해마다 대상이 달라진다.
기한을 넘기면 자동으로 이월되지 않으므로,
가까운 시일 안에 예약하는 것이 현명하다.
만약 사정이 있다면 공단에 문의해 예외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자.
검진은 단지 병을 찾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일종의 ‘중간 점검’이기도 하다.
마무리 — 한 해의 건강을 점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건강은 늘 조용히 무너지고, 검진은 그 소리를 미리 듣는 일이다.
2025년의 건강검진은 더 이상 복잡하지 않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해,
‘대상자 조회’ 버튼을 눌러보는 일부터 시작하면 된다.
그 한 번의 클릭이 당신의 내년을 지켜줄지도 모른다.
👉 지금 바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에서 대상자 조회 후 예약해보세요.
https://www.kahp.or.kr/kahp_korMain.do
한국건강관리협회
메디체크는 한국건강관리협회의 맞춤 건강증진 서비스 입니다.
www.kahp.or.kr
#국가건강검진2025 #건강검진대상자조회 #건강검진병원예약 #건강검진비용 #건강보험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