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업 재무·자금팀 취업 준비생이라면 지금 확인하세요
1. 재무관리사(CFM) 자격증이란?
**재무관리사 자격증(CFM, Certified Finance Manager)**은
한국CFO협회가 인증하고 매경(MK)이 주관하는 기업 재무·자금 실무 전문 자격입니다.
대기업·중견기업의 재무팀, 자금팀, IR, 외환 관련 직무에서
자금조달·운용·헤지 등 실무 역량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민간 자격으로,
응시자격 제한이 없어 대학생부터 실무자까지 모두 응시할 수 있습니다.
- 인증기관: 한국CFO협회
- 관리기관: 매경닷컴
- 자격 구분: 1급(재무·자본시장·외환) / 2급(자금관리)
- 응시자격: 제한 없음 (학력·경력 무관, 1급 단독 응시 가능)
2. 시험과목 및 범위
✅ 재무관리사 1급
기업의 중장기 조달 및 외환·금융시장 이해 능력을 평가합니다.
간접금융 | 시설자금대출, PF, 신디케이티드론, 리스·할부금융 | 약 35% |
직접금융 | 회사채, 주식, ABS, 신종자본증권 | 약 35% |
외환관리 | 환율·헤지, 선물환·스왑·옵션, 환위험 관리 | 약 30% |
✅ 재무관리사 2급
현금흐름·단기자금·결제·자금계획 등 기업 자금관리 기초를 다룹니다.
현업 Treasury 직무의 기본기를 쌓는 데 가장 적합한 단계입니다.
3. 난이도 및 공부 전략
1급은 중상 난도로, 계산형·사례형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기업금융·자본시장·외환 개념이 필수이며,
PF(Project Financing)와 파생상품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2급은 상대적으로 실무 개념 중심으로,
현금수지분석·단기운용·지급결제 절차 등 실제 기업 자금 흐름을 익히는 과정입니다.
공부 팁:
① 2급으로 결제·현금흐름 기초를 다진 뒤
② 1급에서 자본시장·외환으로 확장하는 2단계 학습 로드맵이 효율적입니다.
4. 시험 일정 및 접수 방법
- 시험 접수: 한국CFO협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 수험표·합격조회: 동일 사이트 내 조회 가능
- 응시료: 급수별 상이 (공식 공지 참고)
- 시험 방식: 객관식 40문항 (온라인 or 오프라인 지정 고사장)
5. 합격 후 진로 및 연봉
주요 진로 분야:
- 기업 재무/자금팀(Treasury)
- 자본시장 조달(회사채·유상증자)
- 외환·환헤지·PF·IR(재무기획)
평균 연봉(서울권 기준):
- Treasury Analyst: 약 6,000만 원
- Finance Manager: 평균 약 8,000만 원
- 시니어 매니저 이상: 1억 원 이상 가능
특히 수협·지방은행·헬스케어·제조업계 전략/재무 직군 등
채용공고에서 “금융 관련 자격증(CPA·CFA·CFM 등) 우대” 문구가 확인됩니다.
6. 재무관리사 vs 유사 자격 비교
주관기관 | 한국CFO협회 / 매경 | 삼일회계법인 | 한국FPSB |
핵심영역 | 자금·조달·자본시장·외환 | 회계·세무·원가 | 개인재무설계 |
응시자격 | 제한 없음 (1·2급) | 제한 없음 | 교육·시험·윤리 요건 필요 |
적합직무 | 기업 재무·자금 | 회계·결산 | 자산관리·WM |
비고 | 기업 재무 핏 | 회계 강화형 | 개인자산관리 중심 |
💡 정리:
회계기반을 강화하고 싶다면 재경관리사,
기업 자금·외환·PF 중심으로 가려면 재무관리사,
개인자산·WM직으로는 AFPK/CFP가 적합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재무관리사 자격증은 국가공인인가요?
→ 아니요. 민간자격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한국CFO협회와 매경이 공동 운영하는 실무형 자격입니다.
Q2. 1급은 2급 없이 바로 응시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다만 실무 기초가 부족하다면 2급을 먼저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Q3. 회계자격증과 병행이 도움이 될까요?
→ 네. 회계자격(재경·회계관리)과 병행 시
기업 재무·자금·결산 역량이 균형 잡혀 채용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마무리
재무관리사 자격증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현업에서 바로 통하는 기업 재무·자금 실무 인증서입니다.
특히 재무팀·자금팀 취업을 목표로 하는 취준생에게
**자금관리(2급) → 재무·외환(1급)**의 단계별 학습 로드맵은
가장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커리어 전략이 될 것입니다.
체감 난이도
2급 (자금관리) | 중간 수준 | 현금흐름·결제 중심, 용어 위주 |
1급 (재무·자본시장·외환) | 중상 수준 | 계산·응용 문제 다수, 실무적 사고 필요 |
- 2급은 현금흐름표, 단기자금운용, 결제 방식 위주로 실무 감각을 묻는 문제.
- 1급은 PF, ABS, 환율헤지, 옵션 구조 등 개념 간 연계형 문제 다수.
“특히 외환 파트는 선물환과 스왑 구분이 혼동되기 쉬워 꼼꼼히 정리해야 합니다.”
공부법 후기
- 기출문제 중심 복습이 가장 효과적.
- 2급은 ‘현금수지분석·결제 흐름’을 시각화하여 암기.
- 1급은 자본시장 구조(PF, 회사채, 신디론) 이해 후 환율 계산 연습 반복.
- PF 사례·기업IR자료를 함께 읽으면 이해가 훨씬 빨라집니다.
“단순히 책만 보기보다 기사·기업공시를 함께 보면 실무 연결이 잘 됩니다.”